관리자
0
손님
0
염지연
0
정일철
0
5
백승환
0
6
김현아
0
7
최주환
0
8
이성진
0
9
이한수
0
10
한세만
0
11
김양옥
0
12
윤지섭
0
13
박병조
0
14
강미정
0
15
유지욱
0
박병진
534
관리자
129
손님
20
박재현
1
5
황봉구
1
6
스리랑
1
7
동글이
1
8
다데기
1
9
face
1
10
1311
1
11
충청텔레콤
1
12
염지연
0
13
정일철
0
14
백승환
0
15
김현아
0
오지웅
2/13
이다
4/7
요기
8/17
충청텔레콤
3/1
연세대패션마케팅
6/28
ICIA
6/8
준치
8/20
노무라
6/10
해피뉴욕
6/24
조준희
11/14
비에젖은바람
9/27
광천하이마트
7/8
1311
4/20
동명
7/18
탑렌탈
5/31
전체방문 : 123,077
오늘방문 : 4
어제방문 : 23
전체글등록 : 942
오늘글등록 : 0
전체답변글 : 2
댓글및쪽글 : 9
frequently..questions
잦은 질문 FAQ
자주 올라 오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정리해 놓았습니다.
검색을 이용하면 원하는 내용을 빠르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ㆍ조회: 7123
FRP란?
FRP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琉璃纖維强化 -,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요약 유리섬유와 플라스틱을 혼합한 물질. 본문 유리섬유·탄소섬유·케블라 등의 방향족(芳香族) 나일론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를 결합한 물질이다.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볍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에 지름 0.1mm 이하로 가공한 유리섬유를 보강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외부 충격에 강하고 장력강도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보통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FRP라고 하지만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과 구별할 때는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라고도 한다.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1940년대 초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1960년대 이후 유리섬유보다 우수한 탄소섬유가 출현해 플라스틱과 결합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던 금속, 세라믹 재료 등을 대체하고 있다. 가볍고, 내구성·내충격성·내마모성 등이 우수하며, 녹슬지 않고, 열에 변형되지 않으며, 가공하기 쉽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단점은 고온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건축자재, 보트의 몸체, 스키용품, 가정용 욕조, 헬멧, 테니스 라켓, 의자, 항공기 부품 등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제품에 활용된다. 유리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파쇄하거나 소각처리가 어렵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주범 가운데 하나로 인식되기도 한다. ============================================================================ F.R.P란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의 약자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이라는 의미가 있으며, 통상 강화 플라스틱이라고 알려져 있다. F.R.P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복합되어 좋은 강도를 얻는 것과 마찬가지로 내수, 내약, 내열성이 좋은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한편, 장력강도가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유리섬유를 복합재료로 하여 우수한 내식성과 높은 강도를 동시에 갖는 재료이다. F.R.P는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며 내식성,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금속과 대치하여 모든 설비와 건설기기 및 화학 산업 설비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에 지름 0.1mm 이하로 가공한 유리섬유를 보강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외부 충격에 강하고 장력강도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보통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FRP라고 하지만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CFRP : CarbonFiber Reinforced Plastic)과 구별할 때는 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라고도 한다.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1940년대 초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1960년대 이후 유리섬유보다 우수한 탄소섬유가 출현해 플라스틱과 결합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던 금속, 세라믹 재료 등을 대체하고 있다. 가볍고, 내구성·내충격성·내마모성 등이 우수하며, 녹슬지 않고, 열에 변형되지 않으며, 가공하기 쉽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단점은 고온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건축자재, 보트의 몸체, 스키용품, 가정용 욕조, 헬멧, 테니스 라켓, 의자, 항공기 부품 등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제품에 활용된다. FRP의 특성 1. 내식성이 우수 내식용 수지는 산(Acids), 알칼리(Alkalies), 염(Salts), 용제 류(Solvents) 등에 부식되거나 녹지 않는다. → 도금, 염산탱크제작, 라이닝(방수공사), 폐수 처리장, 활어 통 제작에 적용 사례 2. 내열성이 우수 고온에서도 연화하거나 변형되지 않고 또한 저온에서도 부서지지 않는다. → 쓰레기 소각장 굴뚝 벽면 공사에 적용 사례 3. 가볍고 내구성이 강함 - 비중 : 철의 약 1/5 (1.4-1.9) - 인장강도 : 철의 1/3 → 가볍고 내구성이 강해 자동차 범퍼, 굴삭기 & 불도저 등 기계 COVER로 사용 4. 여러 형태의 성형 작업이 가능 목형 작업만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성형작업이 가능하다. → 우체통, 전화 부스, 놀이기구, 이동식 화장실 등에 적용 사례 5. 반투명하며 여러 가지 색 구현가능 수지 특성상 반투명하나 겔코트(안료)를 적절히 사용하여 여러 가지 색깔로 제품구현이 가능하다. → 폐수 처리장(반투명), 유치원 놀이기구, 수영장 미끄럼틀 등에 적용 사례 6. 금속이온 용출이나 화학부식이 일어나지 않는다.(특성 수지 사용 시) → 자동차, 오토바이, 충전지등 각종 도금작업 탱크 및 화학탱크 제작 적용 사례 7. 접착성이 강하기 때문에 타 재질과의 혼성이 용이하며, 파손 시 수리 보수가 용이하다.
전체 (21) 인쇄물 (15)
현수막&실사출력 (2)
판촉물 (0)
기타 (4)
공통 (0)
20